02. 클라우드 보안 공부/실습로그
✅ [실습로그] RIP, RIPv2, RIPng 설정 -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비교
taegi-
2025. 5. 9. 14:14
🌐 RIP, RIPv2, RIPng 설정 -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비교
1. 실습 개요
RIP, RIPv2, RIPng은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(IGP)로서, 거리 벡터 라우팅 방식과 홉 카운트를 기반으로 경로를 계산한다. 본 실습에서는 각 프로토콜의 특징과 설정 방법을 비교하여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성 방법을 학습한다.
💡 실습 목표
- RIP, RIPv2, RIPng 설정 및 차이점 이해
- 각 프로토콜의 메시지 유형과 경로 계산 방법 학습
- IPv6 환경에서 RIPng 설정 및 활용
2. 실습 환경
- 도구: GNS3
- 장비: Cisco 라우터
- 네트워크 프로토콜: RIP, RIPv2, RIPng
3. RIP 프로토콜 이해
🚦 RIP의 주요 특징
- 내부용 라우팅 프로토콜(IGP), 거리 벡터 라우팅
- 동작 계층: UDP 사용, 520번 포트
- 최대 홉 카운트: 15 (16은 도달 불가)
- 경로 갱신 주기: 30초 (Convergence Time 지연 가능)
- AD 값: 120
💡 TIP: RIP의 한계
-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홉 수 제한(15)으로 인해 비효율적입니다.
- Convergence 시간이 길어 네트워크 변경에 느리게 반응합니다.
- 대역폭을 고려하지 않아 트래픽이 많은 환경에서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💡 RIPv1과 RIPv2 차이
- RIPv1: Classful 라우팅, 브로드캐스트 사용(255.255.255.255)
- RIPv2: Classless 라우팅 지원 (no auto-summary), 멀티캐스트 사용 (224.0.0.9)
💡 TIP: 왜 RIPv2를 사용할까요?
- RIPv1은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전달하지 않아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비효율적입니다.
- RIPv2는 Classless 방식과 인증 기능을 지원하여 더 안전하고 유연합니다.
🌱 RIP 기본 설정
- 라우터 RIP 설정
- R1(config)# router rip R1(config-router)# version 2 R1(config-router)# network 1.0.0.0 R1(config-router)# no auto-summary
- 수동 네트워크 주소 요약
- R3(config)# int g1/0 R3(config-if)# ip summary-address rip 10.0.0.0 255.255.252.0
- 인증 설정 (MD5)
- R1(config-router)# key chain RIP_AUTH R1(config-keychain)# key 1 R1(config-keychain-key)# key-string securekey R1(config-if)# ip rip authentication mode md5
4. RIPng 설정 (IPv6)
🌱 RIPng 특징
- IPv6 전용, UDP 521 포트 사용
- 멀티캐스트 주소: FF02::9
- 최대 홉 카운트: 15
💡 TIP: RIPng는 왜 중요한가요?
- 기존 RIP는 IPv4 전용으로 IPv6 환경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
- RIPng는 IPv6 전용으로 설계되어 멀티캐스트를 통해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송합니다.
💻 RIPng 설정
- RIPng 활성화
- R1(config)# ipv6 router rip RIPNG R1(config-if)# int g1/0 R1(config-if)# ipv6 rip RIPNG enable
- 라우팅 정보 확인
- R1# show ipv6 route rip
- 설정 삭제
- R1(config)# no ipv6 router rip RIPNG
5. RIP 메시지 유형
📨 요청 메시지 (Request)
- 라우팅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
- 0.0.0.0 주소 + 메트릭 16으로 요청
📨 응답 메시지 (Response)
- 라우팅 정보 제공 시 사용
- 업데이트 메시지로 활용됨
💡 TIP: Request와 Response 차이점
- Request는 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이고, Response는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입니다.
- 라우터가 서로 경로를 갱신할 때 Response 메시지를 주고받습니다.
6. 실습 결과
- RIP, RIPv2, RIPng 설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, IPv6 환경에서 RIPng의 동작을 확인함.
- 각 프로토콜의 경로 계산 방식과 업데이트 주기를 통해 네트워크 동작 특성을 파악함.
🛑 문제 해결
- 경로 설정 오류: 수동 요약 설정 추가로 해결
- 인증 오류: MD5 설정으로 보안 강화
7. 결론
RIP, RIPv2, RIPng을 비교하여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설정과 동작 방식을 학습하였다. IPv6 환경에서는 RIPng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경로 관리가 가능하며, RIP의 홉 수 제한과 업데이트 주기를 고려하여 사용해야 한다.
💡 TIP: RIP을 언제 사용하나요?
-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간단하게 구성할 때 사용합니다.
- 대규모 환경에서는 OSPF나 EIGRP와 같은 더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고려해야 합니다.
🔗 참고 링크
- RIP 라우팅 기본 개념: Cisco 공식 문서
- 네트워크 설정 사례 블로그: 네트워크 관리사 블로그